천안시의 인구 동향 - 천안 방방곡곡
천안시의 전월대비 인구수 (2023년 2월 28일 기준) 2023년 3월 17일 포스팅하는 현재 2023년 2월 28일 기준으로 천안시의 인구수는 65만 7,417명입니다. 충청남도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가지고 있고, 충청도에서는 청주시 다음으로 두 번째 인구수를, 전국에서는 18번째로 많은 인구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지방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화 억제정책으로 기업들과 대학교, 관공서가 천안으로 이전해 천안인구는 늘기 시작했습니다. 2013년 59만 1,100여 명을 시작으로 2016년 61만 8,000여 명을 지나 2020년 65만 8,800여 명으로 최고점을 찍고현재까지 65만 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천안시의 2023년 2월 인구 65만 7,417명 중에 동남구 인구는 25만 6,729명,..
2023. 3. 19.
천안역세권 혁신지구, 천안역전지구 - 천안 방방곡곡
천안역세권 혁신지구 천안역세권 혁신지구는 도시재생을 위해 산업, 창업, 주거, 교통 등 기능이 집합된 복합 도시재생리츠사업으로 2019년 12월 정부로터 선정되면서 추진되었습니다. 서부광장 쪽은 계룡건설이 컨소시엄을 통과해 45% 지분을 가지게 되었고,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미래를 위한 출발점이 되는 'RE-BOOT를 전안 했습니다. 2023년 3월 15일 현재 서부광장은 공사가 진행 중이고, 시계탑은 철거 됐으며, 택시승강장은 앞쪽으로 이전되었습니다. 와촌동 일대에 사업비 2,219억 원을 들여 지식산업센터, 생활 SOC, 공동주택 254세대, 복합환승센터를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지식산업센터는 이노스트 타워에 포함되며, 1~3층에는 생활 SOC, 4~7층에는 R&D 허브센터, 8~12층에는 스..
2023. 3. 18.
2023년 천안시 전기자동차 민간보급사업 공고 - 천안 방방곡곡
사업개요 - 전기차 보급사업 보급대수 (예산 소진에 따라 보급물량 변동) 구분 전체 일반 우선지원 택시 중소기업 생산물량 택배 (운송사업) 승용 330 264 33 33 - - 화물 170 102 17 - 17 34 보조금액 : 승용최대 1,380만 원/대 (국 680 도 300 시 400, 차종별상이) 화물소형기준 2,100만 원/대 (국 1,200 도 270 시 630, 차종별상이) ※ (승용/화물) 우선지원 보급대상 (보급물량의 10%) - 취약계층(장애인, 차상위 이하 계층, 상이. 독립유공자, 소상공인 등), 다자녀, 생애최초 차량구매, 미세먼지 개선효과가 높은 차량구매자(노후 경유차를 전기차로 대체구매 등) - 다만, 차량구입 시 차량가액(보조금포함)에 따라 기초연금, 장애인 연금 등 수급대상..
2023. 3. 18.
천안시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 추진위원회 발대식 - 천안 방방곡곡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 추진위원회 발대식 2023년 3월 17일 천안시청 대회의실에서 ‘국립치의학연구원 충남 천안 설립' 발대식을 열었습니다. 이날 '국립치의학 연구원 천안 유치추진위원회'도 출범식을 가졌습니다. 추진위원회는 공동추진위원장에 김태흠충남도지사와 박상돈 천안시장이 자리를 했고, 정진석 국회의원, 박완주국회의원, 강훈식국회의원, 이정문국회의원, 김수복 단국대학교 총장,이종혁 단국대 치과대학병원장, 김종수 단국대 치과대학장, 이종현 천안시치과의사회장, 이창주 충남치과 의사회장, 김인선 충남치과기공사회장, 송은주 대전충남치과위생사회장, 엄태관 오스템임플란트 대표이사가 자리를 했습니다. 이들을 포함한 국회의원 7명, 도의원 13명, 치의학계 등등 관련인원들 60여 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미 충..
2023. 3. 17.
성환종축장에 국가산업단지 유치와 삼성 '지역 균형 발전에 60조 투자'가 천안에 미치는 영향 - 천안 방방곡곡
성환종축장에 국가산업단지 유치 2023년 3월 15일 현재 성환종축장이 국가산업단지 최종 후보지로 선정되었습니다. 126만 평 부지에 미래 모빌리티, 반도체 산업단지가 조성될 전망입니다. 국가산업단지 배후 뉴타운도 계획중입니다. 천안시는 성환종축장이전이 2027년 예정되어 있어 인허가 등을 완료해 2028년에 준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행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날은 반도체, 이차전지, 모빌리티등 생산거점을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후보지 15곳이 결정되었습니다. 충청권에 4곳, 대구경북에 4곳, 호남권에 4곳, 경기권에 1곳, 경남권에 1곳, 강원권에 1곳입니다. 특히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에 조성되는 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이목이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애초 공모에 인천, 대전, 부산과 경기도..
2023. 3. 16.